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79

[스크랩] 오대산 야생화 고산부전바디 곰취꽃(곤달비) 구실바위취 냉초 기생초 노랑물봉선 노랑아교버섯 동자꽃 모싯대 미역줄거리 산짚신나물 산토끼풀 여로 용머리 은꿩의다리 이질풀 좁쌀풀 털중나리 쥐순이 풀 큰 연령초 큰산꼬리풀 큰꽃 으아리 열매 젓가락 나물. 활나물 하늘분취 2009. 12. 3.
[스크랩] 야생화 숫잔대.숫잔대과,속,잔대아제비.진들도라지다년생초본.개.7ㅡ8.관상.약용(뿌리) 큰꽃으아리.미나리아제비과,속.어사리.전자련.덩굴성낙엽관목.개.5ㅡ식용.관상.약용(뿌리) 큰뱀무,장미과,속,수매양.일본 수매양.다년생초본.개,6ㅡ7식용.약용(전초) 눈갯버들.버드나무과.낙엽관목.개.3ㅡ4.관상,약용(잎) 2009. 12. 3.
[스크랩] 야생화. 봄맞이꽃,앵초과.속.봄맞이.후선초.1ㅡ2년생.개.4ㅡ5.식용.관상. 애기앉은부채.천남성과,속,애기우엉취.다년생초본.개.5ㅡ6.관상.약용(근경)유독성식물 애기풀.속.명신호.상록 다년생. 앵초꽃,앵초과,속,앵미.풍련초.다년생초본,개.4ㅡ5.식용.관상.약용(전초) 양지꽃,장미과.속.딸기아재비.임석초,다년생.. 2009. 12. 3.
[스크랩] 야생화 좁쌀풀.앵초과.속.황련화.좁쌀까치수염.다년생초본.개.6ㅡ8.식용.관상.약용(전초) 중나리.백합과.속,단나리.가호피백합.다년생초본.개.7ㅡ8.식용.관상.밀월.약용(인경) 중의무릇.백합과,속.중무릇.정빙화.다년생초본.개.4ㅡ5.식용.약용(인경) 한계령풀.매자나무과.속.복음양곽.메감자.다년생초본.개.5ㅡ6... 2009. 12. 3.
[스크랩] 꽃 현호색입니다..한 한녀석 밖에 안나왔더라구요.. 변산 바람꽃입니다..자태가 참 우와 하지 않나요.. 안에 있는 연보랏빛이 꽃잎이라는데.. 뒷모습도 아주 멋있더라구요. 분홍 변산 바람꽃입니다..색이 조금은 다르더라구요.. 이뻐서 이뻐서 몸이 떨렸답니다.. 뽀송~`뽀송한 솜털들이 매력적인 분홍 노루.. 2009. 12. 3.
[스크랩] 덕유산꽃들 꿩의 바람꽃 긴 병꽃풀 감자란초 나도옥잠화 나도바람꽃 단풍잎 모데미풀 박세 산작약 애기나리 애기수영 용둥글레 처녀치마 풀솜대 천남성 좀쥐오줌풀 큰잎갈퀴나물 하늘말나리 쇠물푸레나무 덩굴꽃마리 동의나물 바위말발도리 벌깨덩굴 산 소철 함박꽃나무 미나리 냉이 개감수 삿갓나물 우산나.. 2009. 12. 3.
[스크랩] 꽃들 출처 : 화초사랑님의 플래닛입니다.글쓴이 : 화초사랑 원글보기메모 : 2009. 12. 3.
[스크랩] 호명산꽃과풍경 .bbs_content p{margin:0px;}                 출처 : 화초사랑님의 플래닛입니다.글쓴이 : 화초사랑 원글보기메모 : 2009. 12. 3.
[스크랩] 댕댕이 덩굴 방기과(防己科)에 속하는 낙엽 덩굴나무로 들판이나 숲가에서 자라며 댕강넝쿨이라고도 합니다. 길이 10m 이상 자라며 풀이나 나무를 감고 올라가는데 줄기와 잎에 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3∼5개의 맥이 뚜렷하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합니다. 꽃은 황백색으로 5~6월에 암꽃.. 2009. 12. 3.
[스크랩] 덕유산 덕유산... 손짓하는 애절함에... 길고 긴 마음 열어 품으니.. 반겨줄 님은 숨어 버리고 살랑 살랑 헤짐는 바람만이 허리 감아 더덤고 달아 나는데 넌.... 더부 살이 하루 살이... 어느 품이 그리워 밤새 도록 자해 하였는가 그렿게도 마음도 몸도 추워서..... 너의 모습 설빙으로 곱게도 단장 하였구.. 2009. 12. 3.
[스크랩] 울애인이,,,,, 노루귀.미나리아제비과.개화기3ㅡ5.관상 약용속명 장이쇄신.설황초,다년생초본 당신은 아직도.. 가슴 깊숙이 모습하나 묻어 놓고 애가 타서 숨이 멎도록 싹 트기만 기다렷나요. 넓고도 아득한 또는 깊고도 까마득한 대지의 품 안에 갇힌 자신의 존재를 끊임없이 확인하면서. 이렇게 내 곁에 모습 드려 .. 2009. 12. 3.
[스크랩] 용봉산 용봉산에 오를제.. 정다운벗 아홉이서 용봉산에 오를제에 높고 푸른 하늘가엔 흰구름 떠가고 녹색 치마두른 바위산 어서오라 손짓하네 용도사 미륵불 오가는이 불심주고 거대한 바윗덩이 세월속에 풍진쌓여 솔씨앉아 자라나니 바위산 되었구나 짙은녹향 들이쉬며 투석봉에 올라보니 지평선너머까지.. 2009.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