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아래 수체계도를 보면
가야기맥은 1기맥 3지맥 2분맥 26단맥 32개산줄기 약717.9km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
소계 32 |
3 |
2 |
26 |
717.9 |
|
|
|
가야기맥 |
|
|
|
105.4 |
거창 |
● |
|
국사봉 서측 |
|
|
가야노금지단맥01 |
19.4 |
거창 |
|
|
시코봉 |
가야양각지맥1 |
|
|
33.4 |
거창 |
● |
|
|
양각산 |
|
|
|
거창 |
●● |
|
|
보해산 |
|
|
|
거창 |
● |
|
|
거창군 남하면 대야리 가천과 황강 합수점 終
|
|
|
|
거창 |
● |
|
수도산 서봉 |
|
|
가야월매단맥02 |
11.1 |
|
|
|
수도산 서봉 |
가야금오지맥2 |
|
|
85.8 |
김천 |
● |
|
|
염속산 서북측 |
|
가야금오연석단맥03 |
11.5 |
김천 |
|
|
|
염속봉산 |
가야금오추산분맥1 |
|
58 |
성주 |
● |
|
|
|
염속봉 동남측 |
가야금오추산도장골단맥4 |
11.3 |
성주 |
|
|
|
|
칠봉산 |
가야금오추산대황단맥5 |
12.6 |
성주 |
|
|
|
|
|
칠봉산 동측→ 가야금오추산대황성암단맥06 |
17.6 |
성주 |
|
|
|
|
하미기재 남측 |
가야금오추산까치단맥7 |
12.6 |
성주 |
|
|
|
|
의봉산 북동측 |
가야금오추산외곡단맥8 |
20.7 |
고령 |
|
|
|
|
청룡산 |
|
|
고령 |
● |
|
|
|
고령군 우곡면 객기리 회천과 낙동강 합수점 終 58km |
|
|
|
● |
|
|
고당산 북동측 |
|
가야금오노산단맥09 |
17.2 |
김천 |
|
|
|
백마산 남측 |
|
가야금오자산단맥10 |
24 |
성주 |
|
|
|
능밭재 북동측 |
가야금오영암분맥2 |
|
38 |
김천 |
● |
|
|
|
영암산 |
|
|
칠곡 |
● |
|
|
|
누진산 동남측 |
가야금오영암비룡단맥11 |
10.4 |
김천 |
|
|
|
|
봉화산 |
|
|
칠곡 |
● |
|
|
|
성주군 선남면 선원리 백천과 낙동강 합수점 終 38km |
|
|
|
● |
|
|
부상고개 북동측 |
|
가야금오운남단맥12 |
18 |
김천 |
|
|
|
금오산 서남측 |
|
가야금오금오단맥13 |
16.7 |
김천 |
|
|
|
꺼먼재산 |
|
|
|
구미 |
● |
|
|
백마산 |
|
|
|
구미 |
● |
|
|
구미시 고아읍 관심리 감천과 낙동강 합수점 終 85.8km |
|
|
|
구미 |
● |
|
분계령 서북측 |
|
|
가야독용단맥14 |
15.3 |
김천 |
|
|
두리봉 |
가야가야지맥3 |
|
|
29.7 |
성주 |
● |
|
|
가야산 |
|
|
|
합천 |
● |
|
|
칠불봉 |
|
가야가야동성단맥15 |
21 |
성주 |
|
|
|
문수봉 |
|
가야가야사월단맥16 |
12.6 |
고령 |
|
|
|
미숭산 |
|
가야가야불당단맥17 |
10.2 |
합천 |
|
|
|
고령군 쌍림면 귀원리 안림천변 終 29.7km |
|
|
|
고령 |
● |
|
큰재 동남측 |
|
|
가야매화단맥18 |
14 |
합천 |
|
|
두무산 |
|
|
가야비현단맥19 |
10.2 |
합천 |
|
|
오도산 |
|
|
가야미녀단맥20 |
11.3 |
거창 |
● |
|
상두재 |
|
|
가야인덕단맥21 |
14.7 |
합천 |
◐ |
|
|
|
|
논덕산 북동측→ 가야인덕합천단맥22 |
12 |
합천 |
|
|
토곡산 서남측 |
|
|
가야영창단맥23 |
10.5 |
합천 |
|
|
지릿재 동측 |
|
|
가야소학단맥1 24 |
10 |
합천 |
|
|
솜등산 동측 |
|
|
가야소학단맥2 25 |
12.7 |
합천 |
|
|
|
|
|
노구산 북측→ 가야소학장뚝단맥26 |
10 |
고령 |
|
|
성산 |
|
|
|
|
합천 |
● |
|
합천군 청덕면 삼학리 황강 낙동강 합수점 終 105.4km |
|
|
|
|
합천 |
● |
19. 가야기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풍 가야 합천 창녕
백두대간이 남으로 남으로 달려 내려가다 전북 충북 경북의 3개도로 나뉜다 하여 삼도봉이란 이름을 얻은 봉우리에서 계속 남하하여 전북 무주군 무풍면과 경북 김천시 대덕면을 넘나드는 덕산재를 넘어 대덕산을 지나 소사고개로 가는 길목에 또 하나의 삼도봉이 있으니 바로 초점산을 일컫는다
5만분의1 지형도에는 아무 표시도 없는 지형도 등고선으로 추정하는 1250봉을 말하는데 이 봉우리는 대덕산에서 소사고개로 가다 대덕산과 거의 같은 크기로 우뚝 솟아있다
바로 전북 경북 경남을 구분짓는다 하여 위의 삼도봉과 구분하기 위해 거창삼도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대간은 서남진하여 소사소개로 내려가다 다른 한줄기를 분기하여 남하하는 산줄기가 있으니
그 경로를 살펴보면
거창삼도봉에서 경북과 경남의 경계능선을 따라 877봉 국사봉어깨 한기마을로 자지러들었다가 백학동마을 901봉에서 우두령재로 내려섰다가 1230봉 무명봉에서 남쪽으로 흰대미산 줄기를 흘리고 경계능선은 동북진하여 1316봉인 수도산으로 오르다가 수도산 서봉에서 북으로 한줄기를 더 내어 도립공원 금오산으로 연결되는 금오지맥을 떨군다
가야기맥은 동남진하여 1106봉 단지봉 1257봉 좌일곡령 1124봉 999봉 목통령 분계령 두리봉에서 경상남북도 경계능선은 가야산으로 내달리고 기맥은 남진하여 거창군과 합천군의 경계능선으로 들어서며 이 능선의 동쪽이 가야산국립공원내에 속하게 된다
1094봉 남산 깃대봉 916봉 마령 큰재 의상봉 마장재 비계산 산제치 616봉 산제터널 두무산 두산지음재 오도산에서 거창과 합천의 경계를 벗어나 합천군내로 들어가 묘산면과 봉산면의 면계를 가른다
1067봉 685봉 547봉 싸리터재 564봉 상두재에서 묘산면과 합천읍의 경계로 들어가 512봉 마령재 434봉 매화재에서 경상남북도 도계를 가른다
만대산 노태산 지릿재 정골재도로 실봉 장등재 309봉 기미재 솜등산에서 경상남북도 경계를 벗어나 경상남도 내로 들어가 합천군 쌍책면과 덕곡면 면계를 따라간다
176봉 점촌재 무명봉에서 서쪽으로 기수를 돌려 합천군 쌍책면과 청덕면 면계를 따라 부수봉 필봉에서 청덕면 내로 들어가 235봉 성산 덕원마을 뒷능선 말정 지나 황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곳에서 낙동강 물이 되는 약 105km 정도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가야산 정상을 거치지 않지만 가야산국립공원 내를 통하고 있어 가야산의 명성을 차용하여 가야기맥이라 이름짓는다
가야기맥개략
여기서 거리는 맵자로 잰 도상거리이므로 실제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높이는 5만분의1 지형도에 표기되어 있는 높이로 소숫점 이하는 절사를 하였고 높이가 표기되지 않은 곳은 등고선의 평균을 취했으므로 실제와는 차이가 있음
(높이m, 거리km/누계km)를 나타냄
거창삼도봉(초점산 1250m)-877봉(3.7km)-국사봉어깨(875, 3.5/7.2km)-
한기마을(470, 1/8.2)-백학동마을(490, 1.5/9.7)-901봉(2.5/12.2)-
우두령재(570, 1.1/13.3)-1230봉(4/17.3)-수도산(1316, 1.5/18.8)-
수도리뒷능선(1050, 1.5/20.3)-단지봉(1326. 3.2/23.5)-1257봉(2/25.5)-
1124봉(2/27.5)-999봉(1/28.5)-분계령(990, 3.1/31.6)-
두리봉(1133, 0.7/32.3)-
남산 깃대봉(1112, 3.5/35.8)-918봉(1.8/37.6)-마령(1006, 5/42.6)-
큰재(930, 0.3/42.9)-의상봉(1046, 3.6/46.5)-마장재(810, 1.7/48.2)-
비계산(1125, 2.7/50.9)-산제치(616, 2.5/53.4)-산제터널(530, 0.5/53.9)-
두무산(1038, 1.8/55.7)-두산지음재(550, 1.5/57.2)-
오도산(1133, 1.5/58.7)-
547봉(4.5/63.2)-싸리터재(310, 0.6/63.8)-564봉(1.5/65.3)-
상두재(550, 1/66.3)-512봉(4/70.3)-마령재(328, 0.8/71.1)-
매화재(550, 4.5/75.6)-만대산(688, 0.8/76.4)-노태산(490, 2.1/78.5)-
지릿재(230, 3.7/82.2)-시리봉(406, 1.5/83.7)-장등재(210, 1.2/84.9)-
기미재(150, 3.7/88.6)-솜등산(273,1.8/90.4)-176봉(1.6/92)-
부수봉(330,5.5/97.5)-필봉(210, 0.7/98.2)-235봉(1.8/100)-
성산(205, 1.7/101.7)-말정(40, 2/103.7)-삼학리 낙동강변(30, 1.7/105.4)
01. 가야노금지단맥
가야기맥이 백두대간 1089번지방도로 소사고개에서 올라가다 초점산 0.3km전 오름능선상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경북과 경남의 경계를 따라 김천시 대덕면 더창군 고제면 웅양면의 삼면봉인 877봉에서 동쪽으로 머리를 틀고 한줄기를 남쪽으로 분기하여 거창군 고제면 웅양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하며 구덤재(690, 2.3)-801.8봉(2/4.3)-군암도로(630, 1.8/6.1)-721.3봉-
노금지재(718.6, 3.3/9.4)-618.9봉(4.5/13.9)-435.7봉-구3번국도(290, 3.1/17)-
신3번국도를 지나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 봉황대 2번군도를 지나 0.1km 정도 내려가 거기천이 황강천을 만나는 곳(250, 2.4/19.4)에서 끝나는 약19.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가야양각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풍 거창
가야기맥이 백두대간 초점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우두령을 지나 수도산 가기 전 시코봉(123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거창군 웅양면과 가북면의 경계를 따라
兩角산(1150)-흰대미산(△1018.1, 3.5)-806봉-회남령도로(650, 4.5/8)-
△721.3봉-662봉-普海산(△911.7, 5/13)-
金貴산(827)어깨(670, 2.6/15.6)-528.2봉-997번지방도로 88올림픽고속도로 살피재(410, 3.4/19)로 내려선다
602봉-朴儒산(△712.0)어깨(590, 2.8/21.8)-
日傘봉(△627.9, 3.6/25.4)-1099번지방도로(430, 1.6/27)-
도면상 오가리재(370, 2/29)-△317.4봉(3.2/32.2) 지나 24번국도를 건너
거창군 남하면 대야리 수도산이 발원지인 가천이
황강을 만나는 곳(170, 1.2/33.4)에서 끝이 나는 약33.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가야월매단맥종주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풍
가야기맥 수도산(△1316.8) 가기 전 서봉에서 금오지맥이 북쪽으로 분기하지만 서북방향으로 월매산을 향하여 한줄기가 더 분기하고 있으니 분기한 순서로는 금오지맥 바로 앞이라 새목임도(790, 2)-
月梅산(1023, 1.5/3.5)-30번국도(270, 5.1/8.6) 지나 3번국도를 건너 김천시 대덕면 중산리 중산마을 수도산이 발원지인 추량천이 우두령이 발원지인 감천과 만나는 곳(90, 2.5/11.1)에서 끝이 나는 약1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가야금오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무풍 가야 김천 구미
백두대간이 남하하다 거창삼도봉(초점산)에서 가야기맥으로 분기한 산줄기가 우두령재를 넘어 1316봉인 수도산에서 가야기맥은 동남방향으로 흐르고 금오지맥은 북으로 김천시 대덕면과 증산면의 면계를 가르며 30번국도 가래재로 내려선다
다시 힘차게 솟구쳐 589봉 758봉 부항현 가기전 삼각점봉(850봉)에서 동진을 하며 김천시 지례면과 증산면의 면계를 따라 697봉 노루목재 824봉에서 경북 성주군과 김천시 지례면의 경계능선을 잠시 가다 무명봉인 810봉에서 동북진하여 김천시 지례면을 동서로 가르며 임도 560봉 동재로 내렸다가 고념마을 뒷능선에서 동진하며 구성면과 지례면의 면계를 가른다
가제산어깨에서 순수하게 김천시 조마면 내를 가르며 나부동고개를 넘어 불당골 뒷능선으로 올라붙어 성주군과 김천시의 경계를 따른다
염속산 살치재 염속봉산 703봉 783봉 579봉 536봉 597봉(고당산) 별미령 572봉 백마산 노곡목장안부 594봉 능밭재 부상재 887봉에서 기맥은 서북진하고 구미의 진산인 금오산은 잠시 북동진으로 비켜나 있다
갈황고개 366봉 458봉 395봉 제석봉 국사봉 434봉 고속도로 국사봉 꺼먼재산 282봉 신촌고개 186봉 선주교 거쳐 감천과 낙동강이 만나는 어강마을에서 끝을 맺고 낙동강이 되는 약 104km 정도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비록 정상은 지나지 않지만 금오산 도립공원내이므로 금오산의 명성을 차용하여 금오지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금오지맥개략
여기서 거리는 맵자로 잰 도상거리이므로 실제와는 차이가 날 수 있으며
높이는 5만분의1 지형도에 표기된 높이에서 소숫점 이하를 절사하였으며
표기된 높이가 없을 경우에는 등고선의 평균 높이를 기재하였으므로 실제와는 차이가 날 수 있다
(높이m, 거리km/누계km)를 나타낸 것임
수도산 서봉(1310)-30번국도 가래재(550, 5.2)-589.4봉-
903번지방도로 부항현(490, 5.5/10.7)-노루목재(630, 2/12.7)-824봉(2/14.7)-반나무실 임도(570, 2.3/17)-560.2봉-1번군도 동재(390, 3.5/20.5)-
가제산어깨(490, 1.7/22.2)-임도-903번지방도로 나부동고개(370, 1.8/24)-
임도-등고선상830봉에서 북쪽으로 가야금오연석단맥을 분기하고 동남진하여 염속산(870.2, 3.4/27.4)을 지나 59번국도 살치재(410, 2.1/29.5)로 내려선다
염속봉산(690, 1.3/30.8)-빌무산(783.6, 4.4/35.2)-536.2봉(2.5/37.7)-
고당산(597, 2.5/40.2)에서 내려가다 등고선상530m 지점에서 북쪽으로 가야금오노산단맥을 떨구고 동남방향으로 4번군도 별미령(350, 1.8/42)-572봉을 지나 등고선상670봉에서 남쪽으로 가야금오자산단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백마산(715, 2.8/44.8)을 진나 913번지방도로 노곡재(410, 1.5/46.3)로 내려선다
594.5봉-능밭재(544, 3.2/49.5)에서 동남방향으로 가야금오영암분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4번국도 부상재(500, 3/52.5)에서 오르면서 등고선상 690m 지점에서 서쪽으로 가야금오운남단맥을 떨구고 오르면서 경부고속철도 북삼1터널 위를 지나 887봉(3.5/56)에서 북동방향으로 가야금오금오단맥을 떨구고 서북진 하여 갈황고개(150, 1.5/57.5)-중부내륙고속도로 갈황터널-
366봉(3.3/60.8)-제석봉(512, 3.8/64.6)-국사봉(480.1)-중부내륙고속도로-
임도를 지나 경부선철로 도로 경부고속도로(4/68.6)를 차례로 건너간다
906번지방도로를 건너 구미대학 뒷능선을 지나 국사봉(2.6/71.2)-
꺼먼재산(400, 3.1/74.3)-282봉(2.1/76.4)-
916번지방도로 신촌고개(90, 1.5/77.9)-186봉(2.4/80.3)-
백마산(170, 1/81.3)-선주교 감천가 감천제방(50, 1/82.3)을 따라 구미시 선산읍 원리 어강마을 감천이 낙동강을만나는 곳(30, 3.5/85.8)에서 끝이나는 약85.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가야금오연석단맥
가야금오지맥이 수도산 서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다 903번지방도로 나부동고개에서 염속산을 오르다가 전위봉인 830봉에서 북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연석산(594.6, 2.1)-동대산-신달이산(469.1, 3/5.1)-
볼두산(428.4, 2.8/7.9)-임도-172.1봉-5번군도(90, 3.1/11)를 지나 대방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0.5/11.5)에서 끝이나는 약1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가야금오추산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왜관 창녕
금오기맥이 가야기맥과 수도산까지 같이 오다 가야기맥은 동진을 하고 한줄기가 북쪽으로 분기를 하여 금오산으로 가던중 김천시 조마면과 성주군 금수면 벽진면의 경계점인 염속봉산(念金粟鳳山, 690)에서 금오기맥은 북진을 하고 한줄기를 동남으로 분기하여
시종일관 회천의 북쪽 울타리를 온전하게 치며 금수면과 벽진면의 경계를 따라 522봉(1.3)을 지나 등고선상 510봉(1.3/2.6)에서 서쪽으로 도장골산(△520.2, 단맥)를 떨구고 남진하여 내원고개 임도(370, 1.2/3.8)에서 동쪽으로 太子봉(△295.9)을 떨구고 남진한다
금수면내로 들어가 30번국도 고름재(230, 3/6.8)-에그네재 도로(210, 1/7.8)-할미산성(△231.3, 1/8.8)-33번국도 땅고개(150, 2.5/11.3)-호령고개 도로 삼거리(270, 2.3/13.6)-칠봉산(△516.8, 1.5/15.1)에서 동쪽으로 城岩산(550, 단맥)과 大皇산(△425, 단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하미기고개 도로(0.6/15.7)-楸산(△524.4, 4/19.7)-신반재(330, 1/20.7)-
배티재(290, 2.4/23.1)-태봉재(310, 1.5/24.6)에서
성주군 용암면과 고령군 운수면의 경계를 따라-칠령재(210, 2.5/27.1)-
△387.5봉어깨(350, 1/28.1)-67번국지도 이례재(170, 2.4/30.5)-
勿閑嶺(370, 1.2/31.7)-△449.4봉(0.4/32.1)에서
서쪽으로 외곡산(△302.1, 단맥)을 떨구고 지맥은 운수면과 성산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한다
儀鳳산(550)-△303.6봉(3.8/35.9)-담밑재(210, 1.3/37.2)-
△248.2봉(1.2/38.4)-서쪽으로 錦산(△286.4, 여맥)을 떨구고 남진한다
88올림픽고속도로 26번국도 기산고개(1.2/39.6)를 건너 358봉(2/41.6)에서 동쪽으로 帝錫산(△387.1, 여맥)을 떨구고 남진하며 성산면과 개진면의 경계를 따라 334봉에서 개진면을 동서로 나누며 남진한다
앞산(237.5)-열뫼재도로(70, 2/43.6)-228봉에서 우곡면과 개진면의 경계를 따라 △287봉(2/45.6)-301.3봉-204봉을 지나 부례고개(130, 2.6/48.2)에서 우곡면내로 들어가 靑龍산(△300.2, 0.8/49)을 지나
화산덤(310.8)-212.5봉을 지나간다
△207.4봉(2.6/51.6)-용머리산(179)-연동도로(50, 1.5/53.1)-
△45.2봉(2.5/55.6)-고령군 우곡면 객기리 정터마을 회천이 낙동강과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1.2/57.8)에서 끝이나는 도상거리 약58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이 산줄기중 산세나 전망 등이 좋은 산인 추산의 이름을 빌어 추산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한번 고찰해 볼 사안이 있는데
금오기맥 염속봉산까지 산줄기와 이 지맥을 연결한 산줄기가 금오기맥보다 약1.5km 정도 그 길이가 더 기나 지명도가 전국적으로 유명한 금오산 도립공원으로 가기 위해 산줄기를 금오산으로 돌리다 보니 이산줄기가 지맥이 되고 말았으나 그것이 훨씬 더 타당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산줄기의 흐름을 그렇게 만들었던 것이며 그 외 아무런 다른 이유는 없다
또한 지맥의 이름도 종주중에 나타난 사항을 보면 이미 선답하신 분들은 표시기 내용으로 보아 확신은 할 수없지만 아마도 모든 분들이 칠봉지맥이라고 부르며 종주하신 듯하여 제 의견을 조금 피력하고 지나가고자 한다
여기서 나의 산줄기 이름을 짓는 원칙 몇가지를 말하자면
첫째. 그 산줄기중 가장 지명도가 높은 산의 이름을 차용한다
단 기맥급 이상 산줄기는 어떠한 물줄기의 울타리를 온전히 에워싸고 흐른다면 그 물줄기의 이름을 차용하였다
둘째. 지명도가 고만고만하면 제일 높은 산이나 산세에 따라 그 이름을 차용 한다 그러나 그 산이름이 너무 흔한 응봉산 매봉산 옥녀봉 국사봉 등 등이라면 다른 산줄기와의 차별화를 위해 특별한 산이름을 차용할 수 도 있다
셋째. 그 산줄기 중 산이름이 없으면 그 산줄기에는 없지만 약2km 내외 거 리에 있는 같은 산권역 안의 산이름을 차용하며 그것도 용이하지 않을 경우 고개 이름 등 기타 지명을 차용한다
넷째. 그 산줄기 중 아무런 지명이 없을 경우 그 분기점의 산명을 차용한다
다섯째. 원산줄기가 분기된 산의 정상을 지나가지 않을 경우 분기된 산의 이름을 차용한다
여섯째. 위 5가지 부류에 속하지 않은 즉 아무런 지명이나 분기점 이름이 없 을 경우 그 산줄기가 끝나는 지점의 지명을 차용한다
일곱째. 위와 같이 이름을 지었더라도 현지나 다른 문헌에 의해서 산이름이 나 기타 지명 등이 밝혀지고 산세가 확인되면 위 원칙에 의거해 이 름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그 산줄기가 어떤 지리 인문 역사 문화 등으로 특별한 내 용이 있다면 그 이름을 따랐다
예를 들어 한남남한산성지맥이라든지 한강영월지맥이라든지 땅끝기 맥이라든지 등 등 예외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위 원칙에 입각해 볼때 5만분의1 지형도 도면상으로 분기점인 염속봉산 이후 처음 나타나는 산이름이 칠봉산이며 높이는 도면상 516.8m이며 두 번째가 추산으로 524.4m이고 세 번째가 의봉산으로 등고선상 높이가 550m이며 마지막으로 청룡산이 300.2m이다
제일 낮은 청룡산은 제외하고 높이가 비슷한 3개의 산중 뛰어난 암봉의 위세와 조망 등로의 상태 순수한 산줄기의 연속성 등 제반여건을 살펴볼 때 추산이 단연 뛰어나며 도면상 높이도 제일 높다
그래서 나는 이산줄기의 이름을 금오기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금오추산지맥이라 지었으나 그 산줄기 중 제일 먼저 나온 산이름으로 이름을 지어 금오칠봉지맥이라 한다던지 지도에는 높이 표기가 안되었지만 실제적으로 제일 높은 의봉산의 이름을 차용하여 금오의봉지맥이라 한다면 그 나름대로의 잣대에 의해 충실히 이름을 지었으므로 딱히 무어라 할 말은 없다
다만 이 산줄기 이름은 공식적인 이름은 아니므로 추후 공식적이고 권위있는 단체나 정부에서 발표하는 이름을 따르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04. 가야금오추산도장골단맥
가야금오지맥이 염속봉산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약2.6km쯤 진행을 해 올라간
등고선상 510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445.7봉-
30번국도 아르매미재(290, 1.3)-남티재 도로(330, 2.4/3.7)-
도장골산(△520.2, 1.6/5.3)-가천교 옆 도로(150, 4.4/9.7)-수로를 건너
33번국도(1/10.7)를 지나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 노루메기 금수면사무소를 흘러온 천과 대가천이 만나는 곳(0.6/11.3)에서 끝나는 약1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가야금오추산대황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왜관
칠봉지맥 칠봉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1km 정도 지난 등고선상 510봉에서 동남방향으로 가야금오추산대황성암단맥을 떨구고 동쪽으로 뻗어나가 491봉-大皇산(△425, 2.7/3.7)-
905번지방도로 굴티재(210, 1.7/4.4)-중부내륙고속도로 별티터널 지나 별티재(170, 2.2/6.6)-
星산(△383.1, 1.3/7.9)-30번국도 함바위도로(90, 2/9.9)를 지나
성주군 선남면 성원리 이천이 백천을 만나 백천이 되는 곳(50, 2.7/12.6)에서 끝나는 약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가야금오추산대황성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왜관
가야금오추산분맥이 흐르다 칠봉산에서 지맥은 남쪽으로 흐르고 한줄기가 동으로 흘러 성주군 대가면, 용암면, 성주읍의 삼면봉인 등고선상 510봉에서 동쪽방향으로는 대황단맥이 이어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성암산(550, 2.1)-905번지방도로 사수고개(190, 1.2/3.3)-△298봉(4/7.3)-
중부내륙고속도로 두리티재(130, 1.3/8.6)-△104.5봉(5.5/14.1)-67, 79번국지도로 배고개(50, 1/15.1) 이후 후포평야를 가로 질러 성주군 용암면 동락리 백천과 신천이 낙동강과 만나는 곳(50, 2.5/17.6)에서 끝이나는 약17.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가야금오추산까치단맥
가야금오추산분맥 6번군도 하미기재에서 도로를 따라 오르다 산으로 올라 등고선상410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다시 6번군도로 내려온다 임도를 잠시 따르다 산으로 올라 까치산(571.6, 3)-
개티임도(270, 2.2/5.2)-226.1봉-328.2봉어깨(310, 3.4/8.6)-월산(229.7, 2.2/10.8)-작천도로(0.7/11.5)를 지나 논두렁으로 진행해 작은천이 대가천을 만나는 곳(1.1/12.6)에서 끝나는 12.6km의 신줄기를 말한다
08. 가야금오추산외곡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왜관
가야금오추산분맥이 흐르면서 67,79번국지도 회봉재에서 올라가며 두 번째 봉우리인 고령군 운수면, 성산면, 성주군 용암면의 삼면봉인 물한령에서 올라간 △449.4봉에서 분맥은 남으로 흐르고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솔티재 임도(310, 1.2)-외곡산(△302.1, 1.3/2.5)-
905번지방도로 배만재(110, 1.5/4)-140.3봉-등고선상230봉에서 동남쪽으로 印鳳산(△186.1, 여맥)을 떨구고 북진한다
△287.4봉어깨(270, 1.6/5.6)-다락이재(170, 1.2/6.8)-△210.3봉(1.5/8.3)-아사리재도로(90, 1.5/9.8)-불당산(△172.8, 1/10.8)-165봉-156봉-
고방도로(2/12.8)-△131.4봉-188봉-彌勒령(170, 2.4/15.2)-
彌勒산(△194.1)-△104.8봉-상곡임도(30, 2.3/17.5)-다산면사무소 앞 도로 삼거리(1/18.5) 이후 △26.9 지점을 지나 고령군 다산면 호촌리 사문진 낙동강변 사문진교(2.2/20.7)에서 끝나는 약2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가야금오노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가야금오지맥이 수두산 서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금오산으로 가던중 고당산 지나 김천시 감천면과 농소면 성주군 벽진면의 경계지점인 등고선상510m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5번군도 노산고개(190, 2.3)-323.7봉-9번군도(210, 4.6/6.9)-양천~칠곡간 전용도로 예정지 지나 279봉(2.5/9.4)에서 김천시내로 들어가
4번국도 경부선철로 일반도로가 한꺼번에 몰려들어 만들어진 지좌육교(1.5/10.9)를 지나 지좌천주교회
경부고속철도를 지나 다시 경부고속철도(1.4/12.3)에 이르고 김천시 남면 신촌리 경부고속도로(2.1/14.4)-
신촌리 싸리미마를 앞 도로(1/15.4)에서부터 논두렁 제방으로 진행해 농소~어모간 자동차전용도로 지나 포곡천이 감천을 만나는 곳(1.8/17.2)에서 끝나는 약17.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 가야금오자산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금오지맥이 고당산에서 백마산으로 가던중 4번군도 별마령에서 올라간 김천시 농소면, 성주군 벽진면, 초전면의 경계인 등고선상670m인 무명봉에서 가야금오지맥은 북쪽으로 가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해 임도 십자안부 달밭고개(330, 2.5)-913번지방도로 송골고개(190, 5.4/7.9)로 내려선다
자산(359.9, 1.2/9.1)-자산 중부내륙고속국도 지나 4번군도 회동고개(4/13.1)- 성주군 초전면 칠선리 도로(2.5/15.6)-285.3봉-
905번지방도로 대티고개(2.5/18.1)-수식골 임도(30, 2.3/20.4)-성주~왜관간도로-33번국도 갈막고개(70, 2.3/22.7) 지나 성주군 월항면 이천이 백천을 만나는 곳(30, 1.3/24)에서 끝나는 약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가야금오영암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김천 구미 왜관
가야금오지맥이 수도산 서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흐르다 염속봉산에서 동남쪽으로 가야금오추산분맥을 떨구고 북진하며 백마산에서 금오산으로 가던 중 4번국도 부상고개 전 도면상 544봉에서 금오지맥은 동쪽으로 흘러가고 정상 직전에 동남동쪽으로 분기해 가는 산줄기가 있으니 바로 성주의 명산 영암산 선석산으로 흐르는 산줄기를 분기하여
상릉임도(310, 1)-372봉-운봉임도(330, 1/2)-月明산(△561.3, 1/3)-905번지방도로 신거리고개(250, 2/5)로 내려와 바로 그 옆으로 지나는 중부내륙고속국도를 지나 김천시 남면, 칠곡군 북삼읍, 성주군 초전면의 삼면봉인 성주의 명산 鈴岩산(현령산, 방울암산, 784, 2.2/7.2)으로 올라선다
돌목재(550, 2/9.2)로 내려와 칠곡군 북삼읍, 약목면, 성주군 월항면의 삼면봉인 樓鎭산(禪石산, 서석산△742.4, 1.5/10.7)을 지나 칠곡군 약목면, 기산면, 성주군 월항면 삼면 분기점인 飛龍산(576, 단맥)어깨인
등고선상550m 지점(1.4/12.1)을 지나고 432봉과 379.4봉을 거쳐
8번군도 지경재(70, 3.5/15.6)로 내려선다
月恒산(370)-질매재(310)-烽火산(△468.2, 3/18.6)-봉화재(330)-
느린골고개(130)-△220.9봉-구33번국도 다람쥐재(달음티재, 150, 3.4/22)밑 신33번국도로 내려선후 그 옆에 있는 또 다른 도로로 올라
道高산(△348.7)어깨(310, 2.7/24.7)-노석고개(190, 1/25.7)-
우주봉(212, 남양공원묘지-우성공원묘지 도로(110, 2/27.7)-△139.1봉-
임도(0.7/28.4)-△192.8봉(2.5/30.9)-중리마을(50, 2.2/33.1)-
7번군도(50, 1.4/34.5)-30번국도(50, 0.5/35)를 지나
성주군 선남면 무릉리 대흥사 지나 백천과 낙동강 합수점(30, 3/38)에서 끝이나는 약38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 중 가장 높고 명성이 알려진 영암산의 이름을 빌어 가야금오지맥에서 분기하였음으로 가야금오영암분맥이라고 부를 수가 있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29, 31, 32혈을 보면
111)三道峰 見上十六頁(二十八의 오기)
112)大德山 知禮南四十里 茂朱東七十里 分二歧-1
(31혈)1-牛頭峙 東來
修道山 居昌東北三十里 星州西八十五里 分二歧-[1]
(31, 32혈)[1]-餠峴 北來
箭峴 東來
斐旨山 星州西二十一里 分二歧-(1)
(32혈)(1)-扶桑峴 北來
金烏城 開寧南三十里 仁同北十里
善山南四十三里
印縣山 星州治在南九里
伽倻山 陜川治爐北三十里 星州西南四十八里也 分二歧-[1]
(分二歧의 二는 三의 오기임, [2]추가)
[1]-高靈峙 在東二十里
[2]-豆毛山 南來 陜川地
烏頭山 陜川地爐南十八里
陜川峙 山名未詳
美崇山 陜川東北六十里
즉 백두대간 대덕산에서 한줄기를 분기하여 우두치 수도산으로 이어가며 이 수도산에서 다시 한줄기를 분기하여 병현 전형 비지산에서 다시 한줄기를 분기하여 부상현 금오산으로 흐르는 산줄기가 바로 가야금오지맥 산줄기지만 영암산으로 가는 산줄기가 언급이 없어 조금은 안타까운 면이 없지 않지만 후손들이 그 산줄기를 발견하여 합당한 이름을 짓고 세상에 알리면 될일이다
11. 가야금오영암비룡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김천 구미 왜관
가야금오영암분맥 누진산 지나 칠곡군 약목면 기산면 성주군 월항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 550m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비룡산(576, 1.2)-347.7봉-배석재임도(2.6/3.8)-325.4봉(2.4/6.2)-구33번국도-신33번국도 죽전인터첸지 지나 4번국도 제2왜관교 서원천과 낙동강 합수점(4.2/10.4)에서 끝나는 약10.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가야금오운남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금오기맥 4번국도 부상고개에서 금오산으로 오르던중 등고선상 690m 지점에서 서쪽으로 서쪽으로 분기하여 또 다른 갈항고개 임도(250, 1.5)-중부내륙고속도로 부상터널-8번군도 송곡고개(210, 2/3.5)-경부고속철도 조성2터널-절골산(330.4, 2.7/6.2)-운남산(376.8, 2.6/8.8)-
15번군도 운남재(110, 1.3/10.1)-임도-봉화재(350, 2.4/12.5)-906번지방도로 경부선철도 일반도로 경부고속도로(2.1/14.6)를 차례로 건너 서원마을 지나 김천시 아포읍 봉산리 득계마을 월곡천이 감천과 만나는 곳(3.4/18)에서 끝나는 약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가야금오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가야금오지맥이 금오산 오르기전 4번국도 부상고개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690m 지점에서 서쪽으로 가야금오운남단맥을 떨구고 오르면서 경부고속철도 북삼1터널 위를 지나 887봉에서 지맥은 서북진하여 제석봉으로 가버리고 북동방향으로 가야금오금오단맥을 분기하여 김천시 남면, 구미시, 칠곡군 북삼읍의 삼면지점(1)인 금오산성에서 동남진으로 꺾어서 등고선상870m 지점(1/2)에서 북쪽으로 금오산 정상을 버려두고
구미와 칠곡군 북삼읍의 경계를 따라 동남진하여 도수령(410, 1.5/3.5)-
469.6봉-등고선상530봉(1.6/5.1)에서 동남방향으로 꺾어서
북삼 안평리도로(90, 3.5/8.6)에 이른다
경부선철도-도속고개 도로(90, 2.4/11)-시덕고개도로(50, 1.7/12.7)-임도-칠곡군 약목면 덕산리 독뫼마을-21번군도(1.8/14.5)-33번국도(1.7/16.2)를 지나 경호천이 낙동강과 만나는 곳(0.5/16.7)에서 끝이나는
약16.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가야독용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가야기맥이 수도산에서 가야산으로 가덩 중 분계령 가기전 김천시 증산면, 거창군 가북면, 성주군 가천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103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석항령-△797.1봉(2)-진들목재(730)-877봉-兄弟봉(△1022.2, 2.5/4.5)-禿用산(△955.5, 3.6/8.1)-신흥뒷산(△562.2, 3.7/11.8)-임도-성주군 가천면 가천중고교 지나 신흥마을앞 59번국도(130, 3/14.8)를 지나 금봉천이 대가천을 만나 대가천이 되는 곳(130, 0.5/15.3)에서 끝이나는 약15.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가야가야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합천 창녕
가야기맥이 수도산 지나 단지봉을 거쳐 두리봉(△1133.4)에서 가야기맥은 남쪽으로 머리를 틀고 다른 한줄기가 경상남북도의 경계를 따라 동진하며 부박령-伽倻산(△1430, 3.5)에서 북쪽으로 아박산(△693.3, 여맥)을 떨구고 동쪽으로 0.5km정도 가면 나오는 경북 성주군 가천면과 수륜면 경남 합천군 가야면의 경계지점인 칠불봉(1433, 0.5/4)에서 동쪽으로 동성봉(1227. 단맥)과 老故城址(△359.3) 老人봉(△466.4, 여맥)을 떨구고 남쪽으로 머리를 돌린다
서장재-가령임도(630, 4/8)-加산(△690.2, 1/9)-59번국도(510, 1/10)-
579봉-北斗산(△687.9, 2.7/12.7)에서 서남방향으로 시루봉(590, 여맥)을 떨구고 32번국지도 모로현도로(310, 2.2/14.9)에 이른다
이제부터 미숭산 일반등산로가 산책로처럼 펼쳐지며 文殊봉(670, 1.7/16.6)에서 동쪽으로 四月봉(400.1, 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나상치 임도(490, 0.7/17.3)-美崇산(757, 1.7/19)-△734.3m-88올림픽고속도로 고령터널-268.5봉(6.3/25.3)-송림재를 지나 고령군 쌍림면 귀원리 쌍림면소재지 26,33번국도(3.9/29.2)로 내려와 동남방향으로 합가천이 안림천을 만나는 곳(0.5/29.7)에서 끝이나는 약29.7km의 산줄기를 말하거나
동진을 하며 불당산(△412.1, 2.7/21.7)-主산(△310.3, 2.7/24.4)-33번국도 덕곡재도로(90, 1.3/25.7)-고령읍 고아리 골안마을 도로(2.5/28.2)를 지나 안림천이 대가천을 만나 회천이 되는 곳(1/29.2)에서 끝이나는 약 29.2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하는데 나는 그래도 산줄기가 조금 더긴 전자를 따라가는 것이 30km이상의 산줄기를 지맥으로 하자는 약속에 근접을 하기 때문에 눈 질끈 감고 그쪽으로 마루금을 긋고 산행을 시작한다
그러면 불당산으로 가는 산줄기는 단맥능선으로 가야가야불당단맥 약10.2km가 되는 것이다
15. 가야가야동성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왜관 창녕
가야가야지맥이 가야산을 넘어 칠불봉에서 남쪽으로 가야지맥은 가버리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어자 임도를 지나 동성봉(1227, 1.7)에서 북쪽으로 老人봉(△466.4, 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59번국도(410, 3/4.7)-△524.4봉(1.1/5.8)-배울 임도(230, 2.2/8)-老故城址(△359.3, 0.5/8.5)-
가륜도로(130, 1.7/10.2)-임도-△225봉-故城址(350, 2.5/12.7)-
△266.5봉(4.5/17.2)-33번국도 가남도로(50, 1.8/19)를 지나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 소가천이 대가천을 만나 대가천이 되는 곳(50, 2/21)에서 끝이나는
약2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가야가야사월단맥
가야가야지맥이 미숭산 가기전 합천군 야로면, 고령군 덕곡면, 고령읍의 삼면봉인 문수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사월봉(400.1, 3.8)-242.4봉(2/5.8)-
용수봉(227, 3.4/9.2)-고령읍 대가야고교 정방마을 구33번국도(1.8/11)-신33번국도-26번국도(1/12)를 지나 내곡천이 화천을 만나는 곳(0.6/12.6)에서 끝나는 약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가야가야불당단맥
가야가야지맥의 미숭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불당산(△412.1, 2.7)-
主산(△310.3, 2.7/5.4)-33번국도 덕곡재도로(90, 1.3/6.7)-임도-고령읍 고아리 골안마을 도로(2.5/9.2)를 지나 고령읍 고아리 안림천이 대가천을 만나 회천이 되는 곳(1/10.2)에서 끝이나는 약10.2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18. 가야매화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가야 합천
가야기맥이 두리봉 남산 깃대봉 지나 큰재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높이 990m 정도되는 삼거리서 기맥은 별유산으로 남진을 하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단지봉(△1028.6, 2.3)-957봉-남산제일봉(1010, 2.7/5)에서 북쪽으로 五峰산(950,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하여 梅花산(△954.1, 1.2/6.2)-
△502.6봉(2.6/8.8)-외사997번지방도로(270, 1/9.8)-南山봉(△321, 2.5/13.3)-고령군 야로면 월광리 월광사 부근에서 가여천이 되는 곳(130, 0.7/14)에서 끝나는 약1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9. 가야비현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합천
가야기맥이 비계산 지나 斗霧산(△1038.4)에서 기맥은 남쪽으로 달리고 한줄기가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노루목재(430, 2.1)-상라도로 노루목재(350, 1.1/3.2)에서 올라간 등고선상470m 지점에서
북쪽으로 自警산(△503.3, 여맥)을 떨구고 미로터재(250, 2.5/5.7)-비현산(380, 0.7/6.4)-임도-
1084지방도로 보태재(150, 2.4/8.8)-성령산(324)을 지나 26번국도 고령군 야로면 석사마을 석사교 묘산천이 가야천을 만나는 곳(70, 1.4/10.2)에서 끝이나는 약1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0. 가야미녀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합천 거창
가야기맥이 백두대간 초점산에서 분기하여 국사봉 적하고개 우두령 수도산 단지봉 두리봉에서 가야산을 바로 앞에 두고 그리워하며 동쪽으로 시종일관하던 머리를 남쪽으로 틀어 남산 우두산(별유산) 비계산 두무산 지나 머리에 군사시설물을 잔뜩이고 힘들어하는 합천의 마테호른인 오도산을 지나 잠깐 내려간 거창군 가조면, 합천군 봉산면, 묘산면의 삼면지점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오도재(730, 0.8)-미녀봉(930, 1.5/2.3)-893봉-846봉(3/5.3)-宿星산(△898.9, 0.7/6)-봉화재(250, 1.5/7.5)-△350.9봉(1.2/8.7) 황강과 가천이 만나는 곳(2.6/11.3)에서 끝이 나는 약 11.3km 정도의 산줄기를 이름한다
21. 가야인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합천
가야기맥이 오도산에서 마령재로 가면서 상두재에서 기맥은 동남진하고 한줄기를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인덕산으로 가면서 서쪽으로 講德산(570)을 떨구고 仁德산(△647, 3.3)-1034번지방도로 인곡도로(350, 1.2/4.5)로 내려선다
論德산(530, 0.8/5.3)-비룡재(△417.8, 1.4/6.7)-아리랑재(230, 1.5/8.2)-
小龍산(△520.2, 1.5/9.7)-11번군도 월평동도로(290, 2/11.7)-
등고선상370봉(1.5/13.2)을 지나 합천군 대병면 상천리 10번군도 합천댐(150, 1.5/14.7)에서 끝이나는 약14.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2. 가야인덕합천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합천
가야인덕단맥이 인덕산 지나 1034번지방도로 인곡도로에서 논덕산으로 오르면서 함천군 봉산면, 합천읍, 용주면의 삼면지점(470)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416.5봉(2.5)-△257봉(2.5/5)-임도(70, 3/8)-용흥사 뒷산(110, 0.5/8.5)-함벽루 뒷산(90, 1.5/10)을 지나 24번국도도 지나고 합천읍 합천리 합천천이 황강과 만나 황강물이 되는 곳(30, 2/12)에서 끝이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3. 가야영창단맥
가야기맥이 흐르면서 1034번지방도로 마령재를 건너 토곡산으로 가면서 등고선상610m 지점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24번국도 들목고개(2.2)-264.3봉-
등고선상310봉(1.7/3.9)-등고선상310봉(3.3/7.2)-33번 24번국도 합쳐지는 도로삼거리(3.1/10.2)를 지나 합천읍 영창리 합천천이 황강을 만나는 곳(0.3/10.5)에서 끝나는 약1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4. 가야소학단맥1
가야기맥이 만대산에서 노태산을 지나 신33번국도 터널을 지나 월미재에서 내려간 구33번국도 지릿재에서 큰재로 넘어가면서 등고선상270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백마산(264, 3.4)-오복골임도(1.4/4.8)-소학산(285.5, 1.4/6.2)-합천군 율곡리 윗말 1034번지방도로(2.8/9)를 지나 1034번지방도로 황강변 영전교(1/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5. 가야소학단맥2
가야기맥이 907번지방도로 기미재 솜등산으로 올라 고령군 쌍림면, 합천군 쌍책면, 덕곡면의 삼면지점에서 가야기맥은 동남방향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285.6봉-3번군도 유천령(190, 1.2)-
노구산(324.7, 1.2/2.4)-307.7봉(0.7/3.1)에서 북쪽으로 장뚝산을 떨구고 동진한다
소학산(489.1, 3.7/6.8)-바람고개-열뫼재-덤밑산(105.3/3.4/10.2) 덕곡면 학리 개산동도로-독산(78.3)-
1034번지방도로(1.3/11.5)를 지나 논두렁을 도로따라 가며 22번군도와 만나는 삼거리(0.7/12.2)를 지나 덕곡면사무소 회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0.5/12.7)에서 끝나는 12.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6. 가야소학장뚝단맥
가야소학단맥2가 흐르면서 노구산 지난 고령군 쌍림면, 우곡면, 합천군 덕곡면의 삼면봉인 307.7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282.4봉(5.2)-
장뚝산(195, 1.8/7)-중촌도로(1.2/8.2)-앞산-도로-88올림픽고속도로를 지나 안림천이 회천과 만나는 곳(1.8/10)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가야기맥산줄기이야기 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