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Anchor):로프르르 임시로나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점을 나태내는 일반적인 용어. 자기 확보의 고정점을 말하기도 한다.
*아레트(Arete):건물의 외각 모서리처럼 날카롭게 모가난 바위 형태.
*아티피셜(Artificial):인공 등반 루트와 같은뜻 또는 더 쉬운 루트가 근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추구하는 루트.
*앰피디어터(Amphigheatre):절벽면에서 크게 움푹 들어간 곳.
*앵글 팩(Angle peg)넓은 크랙에 끼어 넣는 V자형의 피톤.
*어센더(Ascender)고정 로프를 오르기 위한 기계 장치, 등강기라고도 한다.
*언프러텍티드(Unprotected):루트 중 확보물이 없거나취약한 부분(비방호 부분)
*에스케이퍼블(Escapaboe):탈출 가능 루트, 등반을 쉽게 중단하고 덜 어려운 대체 루트로 갈 수 있는 부분.
*에이드 루트(Aid route):자연적인 홀드 대신 확보물에 의존하여 잡아 당겨 오르는 루트.
*에트리에(Etrier):줄사다리, 나이론 줄이나 테이프로 만든 짧은 사다리로 인공 등반 때 발을 거는 데 사용된다.
*에징(Edging):작은 풋 홀드에 암벽화의 안쪽 모서리를 대어 마찰으 얻는 기술.
*월(Wall):각도 약 70도 이상으로 가파른 암면.
*웨지(Wedge):넓은 크랙에서 어깨와 다리를 재밍시켜 오르는 방법.또한 쐐기 모양의 너트를 말하기도 한다.
*요요잉(Yo-yoing):한 루트에 대한 반복된 시도, 여기서 선등자는 매번 시도가 실패되면 밑으로 내려와서 쉰다.
*UIAA국제 산악 연맹 Union Internationale des Association d"Alpinisme 의 약어
*익스포스(Exposed):고도감을 느끼는 부분.
*인 시튜(In situ):영구히 남겨진 장비, 흔히 고정 확보물을 말함.
*인커트(Incut):내부로 경사진 작은 손가락 홀드.
*저그(Jug):확실한 큰 핸드 홀드.
*잼잉(Jamming):크랙에 손가락 손 또는 발을 집어넣어 물리게 하여 오르는 방법.
*쥬마(Jumar):흔한 등강기의 상품명.
*침니(Chimney):몸의 대부분이나 전부가 들어갈 수 있는 수직의 바위틈.
*초크(Chalk):부드러운 탄산마그네슘으로 가루 형태와 덩어리 형태가 있다. 이것을 손가락에 바르면 땀을 제거해 줌으로 어려운 곳에서 손가락으로 잡는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 조금씩 사용하지 않으면 바위에 흰자국이 남아보기 흉하게 된다)초크를 넣은 초크 주머니를 허리에 찬다.
*치팅(Cheating)부정한 방법으로 프리 클라이밍 루트를 오르는 것. 예를 들면 러너를 잡아당기면서 오르는 것.
*카우스테일일(Cow"s tail):자기 확보를 위해 하네스와 확보점을 연결시키는 짧은 로프 또는 슬링.
*카라비너((Karabiner):등반용 로프와 확보물을 연결시키는 금속제장치,O형,D형,삼각형 등의 형태와 개폐대를 잠글 수 있게 된 것과 그렇지 않은 보통 것이 있다.
*캡스톤(Capstone):침니의 출구를 막고 있는 바위덩어리.
*케른(Cairn):이정표 역할을 하는 작은 돌무더기.
*크랙(Crack):바위가가 갈라진 틈, 너비가 1mm미만에서부터 수십cm에 이르는 것이있다.
*크루즈(Cruise):어려운 루트를 능숙하게 오르는 것. 즉 추락이나 요요잉을 하지 안는 경우.
*퀵드로우(Quick-draw):인기있는 익스텐더의 상표
*콤바인드 택틱스(Combined tactics):홀드가 없는 곳을 극복하기 위해 동료의 어깨나 등 위에 서는 것.
*크랍(Krab):카라비나를 줄여서 흔히 쓰는 말.
*클래식 루트(Classic abseil):상태가 좋아 널리 애용되고 있는 주요루트.
*크럭스(Crux):어떤 등반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크레터슈에(Kletterschuhe):창이 단단한 암벽화.
*크로브 히치(Clove hitch):자기 확보물에 묶기 위해 쓰는 간단한 매듭.
*클린 클라이밍(Clean climbing):프리 클라이밍과 같은 뜻.
*테라스(Terrace):너비가 수미터 되는 평평한 곳으로 암벽 폭을 전부 가로지르는 수도 있다.
*테크니컬 클라이밍(Technical climbing):한 루트 중 여러 어려운 동작을 필요로 하는부분.
*텐션 트래버스(Tension traverse):부분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 근처의 확보물을 통해 팽팽이 한 로프를 사용하여 트래버스하는 방법.
*토우트래버스(Toe traverse):풋 홀드만 있고 핸드 홀드가 없는 트래버스 루트.
*토포(Topo):루트의 선을 그린 도면.
*톱 로프(Top rope):등반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루트 정상에 올라가 로프 끝을 아래로 내려보내 학보하는 것을 톱 로핑이라고 하여 그렇게 내려 보낸 로프를 톱 로프라고 한다.
*트래버스(Traverse):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트레드(Thread):자연적인 바위 구멍이나 촉 스톤에 슬링을 걸어서 만든 확보물.
*트루 루트(Through route):침니에서 터널과 같은 곳을 빠져나가는 것.
*티롤리안 트래버스(Tyrolean traverse):협곡 양쪽에서 확보하는 로프를 타고 협곡을 건너는 방법으로 멋져 보이나 보통 불필요하다.
*틴 클라이밍(Thin Climbing):작고 적은 홀드를 사용하는 어려운 등반.
*펙(Peg):흔히 피톤 대신에 사용하는 말.
*펙 해머(Peg hammer):피톤을 크랙에 박기 위해 때리는 연장.
*포켓 홀드(Pocket hold):암면이 파여져 확실한 홀드가 되는 것.
*폴리쉬드 홀드(Polished holds):많이 사용하여 닳아 매끈해진 홀드.
*프로텍션(Protection):방어, 확보물이 제공하는 안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프루지킹(Prusiking):프루직 매듭으로 건 고리를 사용하여 고정 로프를 오르는 방법.
*플레이스먼트(Placement):확보물을 지칭하는 말.
*피나클Pinnacle):암릉이나 암벽 위에 있는 작은 바위탑. 소첨탑이라고도 부른다.
*피치(Pitch):루트의 한 부분으로 클라이밍의 단위 역할을 한다.
*피톤(Piton):날이 있는 크랙에 박는 금속제 확보물로 머리 쪽에 카라비너를 거는 구멍이 있다.
*필오프(Peel off):떨어지다.
*홀드(Hold):몸의 균형이나 지탱을 위해 손으로 잡거나 발로 디딜수 있는 바위나 약간 나온 부분.
*핸드 트래버스(Hand traverse):풋 홀드없이 핸드 홀드만으로 하는 트래버스
*행잉 스탠스(Hanging Stance):클라이머가 자기 확보물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표현하는 말로 사실상 스탠스가 없다는 표현이다.
*헬멧(Helmet):가벼운 무게의 등산용 헬멧. 낙석이나 거꾸로 떨어질 때 머리를 가능한 한 보호하기 위한 것